방영일자 : 2021년 8월 30일 ~ 2021년 10월 26일 / 16부작
방영시간 : 월 · 화 / 오후 10:00
연출 : 장태유, 남태진
극본 : 하은
제작 : 스튜디오S, 스튜디오 태유
출연 : 김유정, 안효섭, 공명, 곽시양 外
스트리밍 : wavve
이 드라마는 귀(鬼), 마(魔), 신(神)이 인간의 삶에 관여하던 단왕조 시대.
어느 연인들의 사랑과 운명에 관한 이야기이자,
세상을 구하고 하늘을 감동시켰던 연인들의 서사시다.
마왕의 저주로 눈이 먼 채 태어났으나 신의 축복으로 눈을 뜬 여자.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건 그림을 그리는 여 화공 홍천기.
나라를 위해 기우제의 제물로서 죽어야 했던 순간,
몸속에 스며든 마왕의 힘으로 살아난 사내.
눈을 잃고 아버지를 잃은 채 평생을 살아가게 된 하람.
때로는 악연(惡緣)과 인연(因緣)의 사이에서,
때로는 생(生)과 사(死)의 갈림길에서,
운명의 보이지 않는 붉은 실에 의해 다시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반복하는…
두 연인의 운명적이고도 극적인 판타지 로맨스가 시작된다.
인물관계도
등장인물


백유화단의 천재 여 화공.
쾌활하고 건강한 에너지를 뿜어내며,
웃으면 주위가 환해질 만큼 청량한 미모를 자랑한다.
천재적인 그림 실력을 가진 천기는
아버지의 광증을 치료하기 위해 유명 고화(古畵)를 모작해
돈을 버는 모작공으로도 은밀히 활약 중이다.
고난, 수난, 수모... 산전수전 다 겪어가면서도
그녀는 씩씩하고 당차게 살아왔다.
그러던 어느 겨울, 음기가 가장 강하다는 동짓날.
천기는 운명의 연인 하람을 만난다.
너무나 아름답고 시리도록 붉은 눈을 가진 사내.
그러나 앞을 볼 수 없는 사내.
십여 년 전 기나긴 동짓날 밤에 만났던 소년과 닮은 듯한 사내.
하람과의 인연은 다시 시작되고,
천기와 하람을 둘러싼 두렵고 신비한 일들이 계속된다.









서문관 주부(主簿).
법궁의 터주신이니 뭐니 풍설을 만들어내는
하람을 탐탁지 않아 한다.
인왕산 물괴 사건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목격자.

서문관의 사력.
일식(日食)과 월식(月食) 등 천문 현상을
관측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조정의 대신. 양명대군의 측근.

양명대군을 지근거리에서 보필하며 시중을 드는 인물.



주향대군의 책사.
비상한 머리회전으로 주향대군을 보좌하며
반정을 꾀하는 인물이다.





홍은오와 함께 영종어용을 그렸던 화공.
봉인식 이후 화차와의 계약으로 육신을 빼앗겼다.
백유화단에서 천기의 그림만을 사가는 의문의 손님.



평가 및 뒷이야기
스토리 자체는 나름대로 볼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연출 및 CG와 관련해서는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리는데 혹평이 많다. 다행히, 뒤로 갈수록 연출에 대한 평은 나아지고 있으며 특히 5회의 연출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았다. 그러나 결말부에서 마왕봉인과 하람-천기 연애 파트는 잘 마무리했으나 주향-양명대군의 왕위분쟁 파트는 뿌린 떡밥도 다 회수하지 못하고 하람의 입으로 대뜸 '자미성의 두번째 별이 흐려졌다'는 암시만 던져놓고 열린 결말로 처리해버려서 용두사미가 되어버렸다암시를 줬다고는 하나 열린 결말이 주향이 이겨서 하람-천기 커플에게 다시 해코지를 할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역사 왜곡 논란을 피하기 위해 원작과 다르게 작중 배경을 가상의 국가 단왕조로 각색했다라고는 하는데, 이름을 바꾼 것 외에는 제작진이 따로 독자적인 변주를 줬다고 할만한 부분이 없어 조선시대의 그것과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는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최 어디가 고증에 신경을 썼다는 건지 이해가 안 된다는 평이 뒤따르는 것은 덤.
이와 같은 행보는 앞서 역사왜곡 이슈가 있던 '조선구마사'로 인해 시청자들의 분노를 사서 조기 폐지 했던 흑역사가 있던지라 특별히 고증에 힘을 쏟았다는 사전 홍보와는 명백하게 반대되는 행동이다. 원작처럼 조선 시대에 이런 일이 있었다는 서사를 있을법하게 그려내고자 노력하긴 번거롭고, 잘못 건드렸다가 시청자들에게 욕 먹기는 두려우니, 회피했다고 해도 할 말이 없는 것.
이름을 바꿨으니 우리 마음대로 해도 되겠지라는 듯한 원작 소설과는 전혀 다른 시놉시스에[9] 가상의 나라라는 것을 어필하기 위함인지 미적 배경은 조선에 무협풍의 CG를 사용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질감을 빚어내어 몰입을 방해한다는 코멘트가 적지 않게 뒤따르고 있다.
실제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대체 역사물에서 고증만큼이나 시청자들이 중요시하는 것은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이유를 보는 이들에게 납득 가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름만 바꾼다고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거라는 생각은 조선구마사 사태를 다시 상기시키는 효과를 빚을뿐더러 제작진의 안일무사적 마인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일부 부정적인 시선이 나왔다.
복식 고증은 비교적 지킨 편이다. 특히 여주인 홍천기가 입고 나오는 장저고리와 궁녀, 상궁의 한복은 조선 전기의 복식에 거의 맞다. 백호로 변신하는 캐릭터 호령이 입은 옷은 고구려 벽화 속 복식과 거의 일치한다. 다만 기녀의 경우 고증에 맞지 않는 짧은 저고리를 입었고, 남성의 경우 갓이 조선 후기의 것과 초기의 것이 혼용되어 아쉽다.
논란이 된 것이 무녀의 의상이었는데, 이질적이기는 하고 고증에 맞지는 않지만 그래도 조선 전기에 충분히 존재했을 법한 의상들을 입고 나온다. 종합하면 완벽하진 않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초기에 조선 전기의 설정으로 갔다면 그 시대의 유물 자료조사를 하기는 한 듯하다.
미술작업은 《바람의 화원》을 맡았던 팀이 그대로 맡았는데, 워낙 조선 전기의 작품이 희소하여 작중에선 조선시대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작품들이 섞였다. 하지만 2화에서 홍천기가 모사하던 산수화 그림은 북송의 전설적인 화가, 곽희의 조춘도인데 이는 당시 안견을 비롯하여 조선 전기의 화가들이 중국의 송, 원, 명의 화풍의 특징을 섞어 그리는 양상이 있었기에 등장해도 크게 문제는 없다. 실제로 안평대군은 기록에서 중국의 명화를 소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안평대군의 애정을 듬뿍 받은 몽유도원도의 안견의 경우 이 작품들로 영향을 짙게 받았고 이는 몽유도원도의 화풍에서 송나라와 원나라의 화풍이 섞인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무작정 중국풍 소품이나 그림 등이 나왔다고 감정만 앞세워 비난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프로그램 > K-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C [비밀은 없어(Frankly Speaking)] _ 자비없는 팩트폭행러가 온다. (2) | 2024.04.24 |
---|---|
JTBC [히어로는 아닙니다만(The Atypical Family)] _ 당신을 구해 줄께요 (1) | 2024.04.23 |
tvN [졸업(The Midnight Romance in Hagwon)_대치동을 배경으로 학원 강사들의 삶과 사랑을 그린 작품 (0) | 2024.04.20 |
OCN 오리지널 [미스터 기간제(Class Of Lies / Undercover Teacher)] _ 상위 0.1% 명문고 의문의 살인사건 진실은 이 안에 있다. (1) | 2024.04.19 |
Genie TV 오리지널 [크래시(Crash)] _ 교통범죄 밀.망.타.진, 노브레이크 직진 수사극 (1)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