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공개일 : 2024년 4월 5일728x90
공개회차 : 6부작
연출 : 연상호
극본 : 연상호, 류용재
제작 :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와우포인트
출연 : 전소니, 구교환, 이정현 外
스트리밍 : 넷플릭스
원작 : 이와아키 히토시 《기생수》
어디에선가 정체불명의 기생생물들이 나타난다.
인간을 숙주로 삼아 살인을 저지르며 세력을 구축하는 침입자들. 이를 막으려는 인간들이 기생생물과 맞서 싸운다.
등장인물
정수인 배우: 전소니
기생생물에게 감염된 주인공. 자신의 뇌를 빼앗는 것에 실패한 기생생물과 기묘한 동거를 시작하게 된다.
설강우 배우: 구교환
사라진 여동생을 찾기 위해 기생수를 쫓는 인물이다.
최준경 배우: 이정현
기생생물 전담반 '더 그레이' 팀의 팀장. 기생수에게 남편을 잃고 오직 기생수 박멸을 위해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 외의 인물들
수인을 끝까지 보호하려는 남일경찰서의 고참 형사.
철민의 후배.
트레일러에서 기생수 측의 리더로 등장한 인물. 원작의 히로카와 다케시 포지션으로 보이며, 다케시처럼 기생수 측의 리더이지만 기생수가 아닌지는 불명이다.
수인의 뇌를 빼앗는 것에 실패하고 얼굴 오른쪽 부분에 기생한 기생생물.
원작과 차이점
원작의 주인공 이즈미 신이치는 남고생이며 오른손에 오른쪽이가 기생했던 것에 비해 본작의 주인공인 정수인은 여성이며 성인으로 추정되며 기생생물인 하이디가 우측 얼굴에 기생하고 있다. 원작에서 패러사이트는 숙주의 뇌가 남아있는지 아닌지 느낄 수 있지만 티저 예고편 마지막에 두 기생수가 정수인을 보고 동족이 맞는지 의심하는 걸 보면 드라마에서는 느낄 수 없는 모양이다.
원작에서 오른쪽이는 불완전한 기생상태에서도 인간의 언어가 가능하여 이즈미 신이치와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를 하지만 티저 예고편에서는 정수인과 기생생물 하이디가 서로 소통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기생생물에게 하이디라는 이름을 붙여준 것을 보면 적어도 어느 정도 소통이 오간 것으로 보인다. 티저 예고편을 보면 기생 생물들이 발생한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작에서는 초반부만 해도 대부분의 기생생물들이 본능대로 사람을 잡아먹는 것만 생각하던 것에 비하면 굉장한 차이인데 이게 어떤 계기가 있어서인지 그냥 원작과 달라진 점인지는 아직까지 불명. 게다가 집회에서 다른 기생생물들에게 연설을 하는 기생 생물은 자신들이 인간에게 기생하여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하면서 다른 기생생물들에게 경어까지 쓰고 있는데 원작에서는 타미야 료코나 오른쪽이 말고는 이만큼 지성적인 모습을 보여준 기생 생물이 없었다.이를 보면 기생생물의 지적수준이나 사회성이 원작보다 높게 설정되어있을 가능성도 있다.
뒷 이야기
전소니, 이정현의 첫 넷플릭스 드라마 출연작이다. 구교환, 이정현과 연상호 감독은 《반도》에 이어 3년 만에 재회한다. 구교환은 연상호 감독과 《반도》, 《괴이》에 이어 세 번째로 호흡을 맞춘다. 원작 작가 이와아키 히토시는 기생수가 한국에서 드라마화된다는 부분에 대해 매우 기쁘고, 다른 장소(국가)를 무대로 한 새로운 이야기라는 점에서 가슴이 두근거렸으며, 자신에게 원작 만화는 마치 자식처럼 느껴지고 실사화 드라마는 손자처럼 느껴진다고 언급했다.